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정보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받는 법. 총정리

by 동탄역 롯데캐슬 2025. 1. 22.

 연말정산 시 연금저축으로 최대 148만 원, 최소 118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큰 혜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금저축 가입률이 아주 높지는 않은데요. 연금저축을 가입하지 않으면 148~118만 원의 혜택을 놓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썸네일

 

1.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연말정산 연금저축은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바로 연금저축펀드와 IRP 계좌인데요. 이 둘을 합쳐서 연금저축펀드+IRP =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율은 소득에 따라 다릅니다.

 

소득 공제율 공제금액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액 55백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이 45백만원 이하)
16.5% 900만원 * 16.5% = 148만5000원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액 55백만원 초과
(종합소득금액이 45백만원 초과)
13.2% 900만원 * 13.2% = 118만8000원

 위 표에서 보이는 것처럼 근로소득, 즉 연봉이 5천5백만 원 이하면 최대 148만 5,000원을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연봉이 5천5백만 원이 넘으면 118만 8,000원을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말정산 시 내가 토해내야 할 세액이 148만 5,000원인 경우 연봉이 5천5백만 원 이하인 직장인은 그 금액이 0원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왜냐하면 148만 5,000원을 세액공제받기 때문입니다.

 

 또는 내 연봉이 5천5백만 원이 넘는데 연말정산 시 내가 납부해야 할 세액이 118만 8,000원인 경우 연금저축에 900만 원을 불입하였다면 그 금액이 0원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굉장한 혜택임에 틀림없습니다. 사실상 매년 연봉에 따라 148만 원에서 118만 원 정도의 금액을 저축하는 셈이기 때문이죠.

 

 그러면 연금저축펀드와 IRP 계좌에 어떻게 불입해야 하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다음에 알아보겠습니다.

 

2.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불입금액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정보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900만 원을 납입해야 합니다. 그런데 연금저축펀드와 IRP에 어떠한 순으로 900만 원을 납입해야 하는지 헷갈릴 것입니다.

 

 이는 위 표에 나와 있습니다. 연금저축에는 최대 600만 원을 납입할 수 있으며 IRP는 최대 900만 원을 납입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IRP에 한 번에 900만 원을 납입해야겠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전문가들의 추천 납입방식은 연금저축 600만 원 + IRP 300만 원입니다. 그 이유는 아래 연금저축 사용 설명서 영상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정보

 

 

3.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차이점

 

 왜 연금저축펀드에 600만 원, IRP 계좌에 300만 원을 불입하는 것이 나은지 아래 표를 보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정보

 

 IRP에 900만원을 모두 불입하지 않고 최소 금액인 300만원만 넣고 연금저축펀드에 600만원을 넣는 이유는 첫째, 중도인출 가능여부입니다. 둘째, 안전자산 30% 의무 가입 조항입니다.

 

 연금저축은 내가 급한 일이 생길 경우 중도인출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퇴직연금인 IRP는 불가능합니다. IRP 계좌 해지의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그러면 그동안 세액공제 혜택을 받았던 금액을 모두 반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IRP 계좌에 900만원을 모두 불입하고 148만원 세액공제 혜택을 받았다면 이를 다시 모두 반납해야 하는 의무가 생깁니다.

 

 둘째, IRP 계좌는 예,적금 또는 채권처럼 안전자산 30% 의무 가입을 해야합니다. 만약 900만원을 IRP 계좌에 불입하면 이 중 30%인 270만원을 안전자산에 의무 가입해야 합니다.

 

 그런데 안전자산은 수익률이 보통 낮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수익률이 높은 ETF 상품에 가입하고 싶을 것입니다. 그래서 IRP 최소 금액인 300만원을 불입하고 이 중 30%인 90만 원 안전자산에 가입하면 나머지 최대 금액을 ETF로 투자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4. 연금저축, IRP 추천 ETF

 

 이제까지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사람의 마음은 세액공제도 받으면서 내가 불입한 연금저축에서 수익도 나길 바랄 것입니다.

 

 그래서 연금저축과 IRP에 투자할 만한 ETF를 고민해 보겠습니다. 일단은 고민하기 싫고 마음 편하게 투자하고 싶은 분들에게는 가장 기본이면서 강력한 S&P500 ETF를 추천합니다.

 

 

ISAETF 추천, 약세장 대비 TIGER S&P500을 매수하는 이유

2023, 2024년 2년 연속 미국 증시는 유례없는 강세장이 지속되었습니다. 그래서 누구나 미국 주식에 투자하면 크게 돈을 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강세장 속에서 2025년이 시작되었습니다.

naebyul79.tistory.com

 그런데 공부를 많이 하고 불편해도 괜찮으니 고수익을 바란다 싶으시면 여러 고수익 ETF를 투자해도 괜찮습니다. 아래 영상에는 다양한 ETF를 소개해주고 있습니다.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정보

 

 다음은 IRP 안전자산 30%에 적립할 만한 상품이 무엇일지 고민이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안전자산 상품은 ETF형 상품보다 그 정보가 적기 때문입니다.

 

 아래 영상에서는 IRP 안전자산에 투자할 만한 다양한 상품을 소개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정보

 개인적으로 저는 안전자산 상품으로 TDF2050이나 나스닥 100 채권혼합, S&P500 채권혼합 상품이 어떨까 싶습니다. 이 3가지 상품들은 마음 편하게 투자하기 좋은 상품들입니다.

 

 저 같은 경우도 ACE S&P500 채권혼합 상품에 매년 90만 원씩 투자하고 있습니다. 비록 큰 수익률은 아니더라도 연 10% 정도 꾸준히 나오고 있기에 마음 편하게 투자하고 있습니다.

 

5. 정리 및 유의사항

 

1) 연금저축 세액공제의 장점

- 연금저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절세 효과

- 세액공제를 통해 납부해야 할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고소득자뿐 아니라 중저소득자에게도 적합한 절세 수단입니다.

 

*노후 대비

- 장기적으로 납입하면 안정적인 노후 생활 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연금 수령 시에는 연금소득세가 부과되나, 다른 소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복리 효과

- 연금저축은 장기적인 투자로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어 자산 증식에 유리합니다.

- IRP와의 연계 가능 - IRP와 연계하면 세액공제 한도를 700만 원(추가 한도 적용 시 900만 원)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

 

2) 주의사항

 

* 중도 해지 시 불이익

- 연금저축은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 형태로 수령해야 하며, 가입 후 최소 5년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 중도 해지 시 세액공제받은 금액에 대해 16.5%의 기타 소득세가 부과되며, 금융기관에 따라 해지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수익률 관리 필요

- 연금저축은 장기 투자 상품이므로, 운용 수익률을 꾸준히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특히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률이 크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 한도 초과 주의

- 연금저축 납입 한도를 초과한 금액은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납입 금액을 계획적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결론

 

 연금저축 세액공제는 연말정산을 통해 세금 부담을 줄이고 노후 대비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재무 전략입니다. 총 급여 수준과 납입 금액에 따라 혜택이 달라지므로, 본인의 소득과 재정 상황을 고려한 계획적인 납입이 필요합니다.

 

 또한, 연금저축과 IRP를 함께 활용하면 공제 한도를 최대한 늘릴 수 있으므로, 두 상품을 적절히 조합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증빙 자료를 꼼꼼히 준비하고, 세액공제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챙기세요!

 

 노후 준비와 절세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연금저축 세액공제를 적극 활용하여 재무적인 안정감을 더해보세요. 

 

관련 글

 

 

농협 IRP 계좌개설 방법 안내. PC. 모바일.

처음 IRP 계좌개설을 하려고 하면 그 과정이 어려울 것입니다. 농협 은행으로 IRP 계좌개설을 하는 경우 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안내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IRP는 개인 퇴직 연금으로 퇴직금을 받

naebyul79.tistory.com

 

KRX 금투자. 방법 및 장단점 총정리

금은 안전자산으로서 훌륭한 투자 수단 중의 하나입니다. 경제가 위기일 때 사람들은 안전자산인 금투자로 몰리는 경향이 있는데요.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직접 금 현물을 사는 방법 또는 주식

naebyul79.tistory.com

 

ISA IRP 차이 및 장점 비교하기

노후에 대한 불안감으로 연금 저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연금 저축은 세제 혜택이 높은 것이 큰 장점입니다. 크게는 연금저축펀드, IRP가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ISA 계좌가 있습니다

naebyul79.tistory.com

 

ISA 계좌 단점. 내 돈을 잃지 않게 해주는 방법.

ISA 계좌는 일반 서민들에게 여러 가지 혜택을 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연금저축펀드, IRP 계좌와 함께 연동하여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산이 오래 묶이는 연금저축과는 달리 3

naebyul79.tistory.com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